맨위로가기

베네치아의 도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네치아의 도제는 베네치아 공화국의 최고 통치자였다. 초기에는 동로마 제국의 대리인과 같은 종신직이었으며, 강력한 권력을 행사했다. 1000년경부터는 달마티아와 크로아티아의 공작 칭호를 사용하기도 했다. 1268년 이후에는 권력이 제한되었고, 1797년 나폴레옹의 프랑스 군대에 의해 베네치아가 점령당하면서 마지막 도제인 루도비코 마닌이 퇴위하며 폐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네치아 공화국의 도제 - 마리노 초르치
  • 베네치아 공화국의 도제 - 프란체스코 포스카리
    프란체스코 포스카리는 베네치아 공화국의 도제(1423-1457)로서 밀라노와의 전쟁, 아들의 반역 혐의, 그리고 사임 강요로 파란만장한 생을 살았으며 사후 예술 작품에 영감을 주었다.
베네치아의 도제
개요
마지막 도제 루도비코 마닌
마지막 도제 루도비코 마닌
직책도제
관할베네치아
문장
거주지팔라초 두칼레
스타일각하
임명권자세레니시마 시뇨리아
창설697년 (전통)
726년 (역사적)
최초의 도제파올로 루치오 아나페스토 (전통)
오르소 이파토 (역사적)
마지막 도제루도비코 마닌
폐지1797년 5월 12일
연봉4,800 두카트 (1582년)
상세 정보
어원라틴어 Dux (군사 지도자)에서 유래

2. 역사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상세 내용을 다루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생략)

2. 1. 기원

서기 1000년경 베네치아의 로마 가톨릭 소속 부제였던 요한네스가 기록한 《Chronicon Venetum|크로니콘 베네툼la(베네치아 연대기)》에 따르면, 베네치아에서 도제의 직위는 약 700년경에 처음 만들어졌다. 이는 그전까지 베네치아 석호의 정착민 무리를 대표하던 호민관을 대신하는 자리였다. 초기 도제들이 동로마 제국 황제의 단순한 대리인이었다는 설도 있다. 도제는 동로마 제국의 황제처럼 죽을 때까지 자리를 지켰으며(종신제), 정치와 종교 모두에서 최고 지도자의 역할을 했다.

2. 2. 비잔티움 제국 시대

서기 1000년경 베네치아의 로마 가톨릭 부제였던 요한네스가 쓴 《크로니콘 베네툼(Chronicon Venetum|크로니콘 베네툼lat, 베네치아 연대기)》에 따르면, 베네치아에서 도제 직위는 베네치아 석호 정착민들을 대표하던 호민관을 대신하여 약 700년경에 만들어졌다. 초기 도제들은 동로마 제국 황제의 단순한 대리인이었다는 설도 있다. 도제는 동로마 제국 황제처럼 종신제로 임명되었고, 정치와 종교 모두에서 최고 지도자의 역할을 했다.

베네치아의 초대 도제로 여겨지는 파올로 루치오 아나페스토는 698년에 선출되어 717년까지 재임했다.[5] 하지만 아나페스토는 비잔티움 제국의 신하였기 때문에 전형적인 베네치아 도제와는 거리가 있었다.[5] 베네치아인들은 742년이 되어서야 비잔티움 제국으로부터 실질적인 자치를 확보할 수 있었다.

역사가들은 아나페스토가 오늘날 베네토주의 도시인 오데르초에서 태어났다고 보는 견해가 일반적이다.[5] 그의 사망 경위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다. 717년 말라모코 귀족들의 음모로 살해되었다는 설,[5] 에라클레아의 공작 저택에서 사망했다는 설,[5] 또는 라벤나총독으로 승진한 후 728년 전투에서 사망했다는 설 등이 있다.[5]

717년부터 726년까지 통치한 두 번째 도제 마르첼로 테갈리아노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많지 않다.[5] 그가 임명될 당시 베네치아 공국은 아퀼레이아의 친 롬바르드 주교와 그라도의 친 비잔틴 지도자 사이의 갈등으로 혼란스러운 상황이었다.[5]

8세기 후반, 마우리치우스 갈바가 공작으로 선출되었고, 그는 magister militum, consul et imperialis dux Veneciarum provinciae|마기스테르 밀리툼, 콘술 에트 임페리알리스 둑스 베네키아룸 프로빈키아이lat, 즉 '군대의 지휘관, 집정관, 베네치아 속주의 황제 공작'이라는 칭호를 사용했다. 도제 유스티니아누스 파르테치파치우스 (829년 사망)는 imperialis hypatus et humilis dux Venetiae|임페리알리스 히파투스 에트 후밀리스 둑스 베네티아이lat, 즉 '황제의 히파토스이자 겸손한 베네치아 공작'이라는 칭호를 썼다.[6]

이러한 초기 칭호들은 비잔틴 관료주의와 귀족주의 체계와 베네치아가 비잔티움 제국에 종속되어 있음을 명확히 보여준다. hypatos|히파토스el, spatharios|스파타리오스el, protospatharios|프로토스파타리오스el, protosebastos|프로토세바스토스el 및 protoproedros|프로토프로에드로스el와 같은 칭호는 황제가 개인에게 평생 부여하는 명예직(ἀξία διὰ βραβείου|악시아 디아 브라베이우grc)이었지만, 직무 자체에 속한 것은 아니었다. 반면 doux|둑스el라는 칭호는 직무(ἀξία διὰ λόγου|악시아 디아 로구grc)에 속한 것이었다. 이 때문에 11세기까지 베네치아 도제들은 사르데냐와 같은 외딴 지역의 비잔틴 통치자들이 사용하던 전형적인 칭호를 유지했다.[7] 1202년에도 도제 엔리코 단돌로알렉시오스 3세 앙겔로스 황제에게서 받은 protosebastos|프로토세바스토스el라는 칭호로 불렸다.

9세기 후반, 이 지역에서 비잔티움 제국의 영향력이 약해지면서 도제들의 칭호에서 베네치아를 '속주'로 언급하는 표현이 사라졌다. 10세기에는 dux Veneticorum|둑스 베네티코룸lat (베네치아인의 공작)과 dux Venetiarum|둑스 베네티아룸lat (베네치아의 공작)이라는 단순한 칭호가 주로 사용되었다.[8] 여기서 복수형 칭호는 도제가 여러 연합된 도시와 씨족 공동체를 다스린다는 점을 반영한다.[9]

2. 3. 달마티아와 크로아티아 공작

피에트로 2세 오르세올로는 1000년에 크로아티아를 격파하고 달마티아 일부 지역을 정복한 후, dux Dalmatiae|둑스 달마티아이la('달마티아 공작')[10] 또는 더 완전한 형태인 Veneticorum atque Dalmaticorum dux|베네티코룸 아크베 달마티코룸 둑스la('베네치아인과 달마티아인의 공작')라는 칭호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이 칭호는 1002년에 신성 로마 황제 헨리 2세에게 인정받았다.[11] 이후 베네치아의 요청에 따라 비잔틴 황제 알렉시오스 1세 콤네노스는 1082년에 이를 다시 확인해주었다. 특히 그 해의 금인칙서(황제가 수여하는 특권 문서)에서 알렉시오스는 베네치아 도제에게 πρωτοσέβαστος|프로토세바스토스el(protosebastosla)라는 황실 칭호를 부여하고, 그를 달마티아 테마(비잔틴 제국의 행정 구역)의 황제 δούξ|둑스el(douxla)로 인정했다.[12]

한편, Dei gratia|데이 그라티아la('신의 은총으로')라는 표현은 11세기 동안 베네치아 정부 문서에서 일관되게 사용되었다.[13] 이 표현의 초기 사례는 827년에서 829년 사이, 유스티니아누스와 그의 형제 조반니 1세 파르테치파치오의 공동 통치 기간 문서에서도 발견되는데, per divinam gratiam Veneticorum provinciae duces|페르 디비남 그라티암 베네티코룸 프로빈키아이 두케스la('신의 은총으로 베네치아 지방의 공작들')라고 기록되어 있다.[9]

1091년과 1102년 사이에 헝가리 왕이 개인적인 연합을 통해 크로아티아 왕국을 차지하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 변화에 따라 베네치아는 비잔틴 황제에게 과거 비잔틴 영토였던 달마티아처럼 크로아티아에 대한 칭호도 인정해 줄 것을 요청했다. 아마도 비탈 팔리에르(1095년 사망)의 통치 시기부터, 그리고 확실히 비탈레 1세 미키엘(1102년 사망)의 통치 시기부터 dux Croatiae|둑스 크로아티아이la('크로아티아 공작')라는 칭호가 추가되었다. 이로써 완전한 도제 칭호는 dux Venetiae atque Dalmatiae sive Chroaciae et imperialis prothosevastos|둑스 베네티아이 아크베 달마티아이 시베 크로아티아이 에트 임페리알리스 프로토세바스토스la('베네치아, 달마티아, 크로아티아의 공작이자 황제 프로토세바스토스')의 네 부분으로 구성되었다.[12] 후대의 중세 연대기 작가들은 크로아티아 칭호 획득을 도제 오르델라프 팔리에르(1117년 사망)의 업적으로 잘못 기록하기도 했다.[14] 14세기에 들어서 베네치아 도제들은 자신들의 영토권이나 주장에 관계없이 헝가리 왕이 칭호에 달마티아와 크로아티아를 사용하는 것에 대해 주기적으로 반대했다.

1350년경에 쓰여진 Venetiarum Historia|베네티아룸 히스토리아la에 따르면, 도제 도메니코 모로시니는 1150년에 이스트라풀라를 정복한 후 자신의 칭호에 atque Ystrie dominator|아크베 이스트리이 도미나토르la('그리고 이스트라의 영주')를 추가했다고 한다. 그러나 실제로 이와 유사한 칭호가 사용된 것은 1153년의 단 하나의 헌장에서 et totius Ystrie inclito dominatori|에트 토티우스 이스트리이 인클리토 도미나토리la('그리고 모든 이스트라의 저명한 영주에게')라는 형태로만 확인된다.[15]

2. 4. 1204년 이후

도제 작위에 있어 다음 주요 변화는 제4차 십자군이 비잔틴 제국을 정복하면서(1204년) 나타났다. 비잔틴 명예 칭호 protosebastos|프로토세바스토스el는 이때쯤 폐지되었고, 로마 제국 분할에서 베네치아가 할당받은 영토에 대한 언급으로 대체되었다. 새로운 전체 작위는 '신의 은총으로 베네치아, 달마티아, 크로아티아 공작이자 로마 제국 전체의 4분의 1과 절반(즉, 8분의 3)의 영주'(Dei gratia dux Veneciela [또는 Venetiarumla] Dalmatiae atque Chroatiae, dominusla [또는 dominatorla] quartae partis et dimidie totius imperii Romaniaela)였다.

전통적으로 후기 중세 연대기 작가들은 제4차 십자군 기간 베네치아인들을 이끌었던 도제 엔리코 단돌로에게 이 작위를 부여하여 '아르마 단돌라'(arma Dandolala)로 알려지게 했지만, 실제로는 '로마 제국 4분의 1과 절반의 영주'라는 칭호는 야심 찬 베네치아의 콘스탄티노폴리스 포데스타였던 마리노 제노가 '로마 제국' 내 도제의 대리인으로서 처음 사용했으며, 이후 도제 피에트로 치아니가 도제 작위의 일부로 채택했다.

그리스 연대기 작가 게오르기오스 아크로폴리테스는 라틴어 dominus|도미누스la, 즉 '영주'를 번역하기 위해 그리스어 despotes|데스포테스el라는 용어를 사용했는데, 이는 데스포트라는 비잔틴 궁정 작위와 혼동을 일으켰다. 도제들은 데스포트 작위를 결코 주장하지 않았지만, 베네치아의 콘스탄티노폴리스 포데스타들은 도제의 대리인 자격으로 이 칭호를 사용하기도 했다.

'로마 제국 전체의 4분의 1과 절반의 영주'라는 작위는 이후 공식적인 작위 체계에서 계속 사용되었다. 다만, 1261년 팔레올로고스 왕조에 의해 비잔틴 제국이 재건된 이후, 베네치아가 비잔틴 황제들과 관계를 맺을 때는 도제 작위의 해당 부분이 '그리고 그의 공작령에 속한 땅과 섬의 영주'(dominus terrarum et insularum suo ducatui subiectarumla) 또는 유사한 문구로 대체되었다는 예외가 있었다.

비슷한 방식으로, 달마티아와 크로아티아를 둘러싼 베네치아와 헝가리 간의 분쟁으로 인해, 헝가리 왕들은 베네치아 도제들에게 편지를 보낼 때 도제 작위에서 해당 지역 명칭을 빼고 불렀다. 이에 베네치아인들은 헝가리 왕들이 두 지방에 대한 주장을 포기하도록 압력을 가하려 했다.

이 분쟁은 1358년 자다르 조약으로 종결되었는데, 베네치아는 달마티아에 대한 주장을 포기했고, 조약의 특별 조항에 따라 달마티아와 크로아티아는 도제 작위에서 삭제되었다. 그 결과 작위는 Dux Veneciarum et ceterala, 즉 '베네치아와 기타 지역의 공작'이 되었다. 비록 달마티아는 15세기 초 베네치아에 의해 다시 정복되었지만, 이 작위는 결코 변경되지 않았고 베네치아 공화국 멸망 때까지 계속 사용되었다. 문서 본문이 이탈리아어로 작성된 경우에도, 작위와 날짜 표기는 라틴어로 되어 있었다.[16]

3. 도제의 선출

베네치아 공화국 도제의 관저이자 정부청사였던 두칼레 궁전


베네치아 공화국의 도제 선출 자격에 대해 명확히 정해진 규정은 없었다. 초기에는 주로 베네치아의 강력한 가문 일원들이 도제 직위를 맡았다. 그러나 몇몇 도제가 자신의 아들을 도제 직위에 관여시키려는 움직임을 보이자, 도제가 가족 구성원을 직위에 참여시키거나 후계자로 지명할 수 없다는 법률이 제정되어 세습 군주제로 나아가는 것을 막았다.[17]

1172년부터 도제 선출은 40인 위원회에 맡겨졌다. 이 위원회 구성원은 베네치아 대평의회가 매년 임명하는 12명의 위원이 뽑은 4명에 의해 지명되었다. 1229년 선거에서 40인 위원회 투표가 20대 20 동수로 교착 상태에 빠지자, 이후 선거인 수는 41명으로 증가했다.[17]

1268년에 새로운 도제 선거 규정이 도입되었으며, 이 복잡한 방식은 1797년 공화국 멸망 시까지 유지되었다. 이 제도는 특정 가문의 영향력을 최소화하려는 목적을 가졌다.[17] 선출 과정은 다음과 같다.

1268년 이후 도제 선출 절차
단계선출 방법선출 인원수결과
1대평의회 의원 중 추첨30명30명 선정
230명 중 추첨9명9명 선정
39명이 대평의회 의원 중 선출40명40명 선정
440명 중 추첨12명12명 선정
512명이 대평의회 의원 중 선출25명25명 선정
625명 중 추첨9명9명 선정
79명이 대평의회 의원 중 선출45명45명 선정
845명 중 추첨11명11명 선정
911명이 대평의회 의원 중 선출41명최종 선거인단(41인 위원회) 구성
1041인 위원회가 투표1명 (도제)도제 선출



최종 구성된 41명의 선거인단이 도제를 선출했으며, 당선에는 최소 25표가 필요했다. 또한 각 선출 단계에서도 최소 득표수 조건(예: 11명 또는 12명 중 9표, 9명 중 7표)이 있었다.[18]

새 도제가 선출되면 취임 선서 전에 콩치오(시민 회의) 앞에 서서 This is your doge, if it please you.|이 사람이 당신의 도제입니다, 마음에 드시면.eng라는 말과 함께 소개되었다.[17] 이는 베네치아 시민들의 동의를 구하는 형식적인 절차였다. 그러나 1423년 콩치오가 폐지되면서 이 관행은 사라졌다. 프란체스코 포스카리가 도제로 선출된 이후부터는 Your doge|당신의 도제eng라고 선언하며 소개되었다.[19]

4. 도제의 권한과 역할

초기 도제는 강력한 세속적 권력을 가졌으나, 1268년 이후에는 일정하고 엄격한 견제를 받게 되었다. 예를 들어, 도제는 외국에서 온 긴급 공문서라도 다른 공직자들이 도착할 때까지 기다려야 열어볼 수 있었으며, 외국 땅에 재산을 소유하는 것이 금지되었다.[17]

일반적으로 도제는 종신직이었으나, 일부는 강제로 퇴위당하기도 했다. 도제가 사망하면, '인퀴시토리'(inquisitoriit) 위원회가 소집되어 그의 생전 행위를 심판했다. 만약 법적인 부정 행위가 발견되면, 그의 유산에서 벌금을 부과할 수 있었다. 도제의 공식적인 급여는 많지 않았고, 그마저도 모두 사용해야 할 의무가 있었다. 도제는 직위에 오른 후에도 이전처럼 무역 사업에 종사했으며, 이러한 활동을 통해 베네치아 공화국의 무역업 친목 협동조합인 스쿠올레 그란디의 자격을 유지했다.[17]

1268년 7월 7일 이후, 도제 직위가 공석일 때는 국가 원수로서 수석 consigliere ducale|콘시리에레 두칼레it(도제 자문관)가 당연직으로 '비체도제'(vicedogeit)라는 칭호로 통치를 대행했다.

4. 1. 의례 역할

도제의 주요 공적 의식 중 하나는 상징적인 행사인 바다와의 결혼식을 거행하는 것이었다. 이 의식은 국가의 의전용 선박인 부친토로(또는 ''부첸타우로'')에서 도제가 결혼 반지를 아드리아해에 던지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이 의식은 원래 1000년 도제 피에트로 오르세올로 2세가 달마티아를 정복한 것을 기념하고 그리스도 승천일을 축하하기 위해 제정되었다. 1177년 교황 알렉산데르 3세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리드리히 1세가 베네치아를 방문한 이후, 이 행사는 더욱 웅장하고 화려한 모습으로 발전했다. 국가적인 특별한 행사 때마다 도제는 점점 늘어나는 각종 의식에 참여해야 했으며, 국제 관계 속에서 그는 주권 군주의 지위를 가졌다.[17]

''승천일의 부첸타우르의 부두 귀환'' (1730년, 카날레토)


14세기 이후 도제의 의식용 왕관인 코르노 두칼레(''corno ducale'')는 베네치아 도제의 유명한 상징물이 되었다. 이것은 뻣뻣한 뿔 모양의 테 없는 모자로, 아마포 모자인 카마우로 위에 보석으로 장식된 옷감을 덧씌워 만들었다. 매년 부활절 월요일, 도제는 산마르코 광장에서 산 자카리아 수녀원까지 행렬을 이끌고 갔으며, 그곳의 대수녀원장으로부터 수녀들이 만든 새로운 코르노 두칼레를 받았다.

바르톨로메오 그라데니고(재임 1339년~1342년)의 금화. 성 마르코 앞에 무릎 꿇고 있는 도제가 코르노 두칼레를 쓰고 있다.


또한 도제는 산마르코 광장에서 시작되는 공작 행렬(Ducal Procession)에 참여했다. 도제는 행렬의 중심에 위치했으며, 그의 앞에는 권위 순서대로 정렬된 공무원들이, 뒤에는 지위 순서대로 정렬된 귀족 법관들이 따랐다. 프란체스코 산소비노는 1581년에 이러한 행렬의 모습을 상세하게 기록했으며, 그의 묘사는 체사레 베첼리오가 1586년에 그린 산마르코 광장의 공작 행렬 그림을 통해 확인되고 보완된다.

4. 2. 복식

14세기부터 베네치아 도제의 의례용 왕관이자 잘 알려진 상징은 독특한 공작 모자인 ''코르노 두칼레''(corno ducaleit)라고 불렸다. 이것은 금으로 수놓은 브로케이드나 금실로 만든 뻣뻣한 뿔 모양의 보닛으로, 카마우로 위에 착용했다. 카마우로는 프리기아 모자를 연상시키는 구조적인 챙이 달린 고운 린넨 모자로, 고전적인 자유의 상징이었다. 이 의례용 모자는 궁극적으로 상 이집트의 흰색 왕관을 기반으로 했을 수 있다.[20]

부활절 월요일마다 도제는 산 마르코 대성당에서 산 자카리아 수도원까지 행렬을 이끌었는데, 거기서 수녀원장이 수녀들이 만든 새로운 ''카마우로''를 그에게 증정했다.

도제의 공식 의상에는 의례용으로 사용되는 황금색 예복, 슬리퍼, 홀 등이 포함되었다.

5. 도제의 몰락

과두정 체제가 성립되면서 도제 직위의 중요한 실권들은 점차 다른 공직이나 정무 부서로 이양되었다.[17] 이로 인해 한때 베네치아 공화국이라는 큰 배의 조종사였던 도제는 점차 실권 없는 상징적인 자리로 전락하였다. 마지막 도제는 루도비코 마닌이었는데, 그는 1797년 5월 12일 나폴레옹이 이끄는 프랑스 군대가 베네치아를 점령하자 퇴위하였다.[17]

이후 베네치아는 오스트리아의 합병에 저항하며 짧게나마 공화국을 다시 수립하기도 했지만, 도제와 같은 옛 제도를 부활시키지는 않았다. 대신 독재자삼두정치 같은 다양한 통치 형태가 나타났다.[17]

참조

[1] 서적 Venice, A Maritime Republic JHU Press 1973
[2] 웹사이트 doge 2018-07-09
[3] 웹사이트 Republic of Venice | Map and Timeline https://history-maps[...]
[4] 웹사이트 The Doge https://palazzoducal[...]
[5] 서적 Dogi: Nullità al potere
[6] 서적 A History of the Eastern Roman Empire from the Fall of Irene to the Accession of Basil I (A.D. 802–867) Macmillan 1912
[7] 간행물 "L'Impero bizantino e l'evolvere dei suoi interessi nell'alto Adriatico" Sansoni 1964
[8] 서적 Les Villes d'Italie, de la fin du Xe sìècle au début du XIVe siècle Société d'édition d'enseignement supérieur 1969
[9] 서적 The Venetian Republic: Its Rise, Its Growth, and Its Fall, 421–1797 A. and C. Black 1900
[10] 서적 Enrico Dandolo and the Rise of Venic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3
[11] 논문 "The Venetians and the Venetian Quarter in Constantinople to the Close of the Twelfth Century" 1920
[12] 논문 "The Chrysobull of Alexius I Comnenus to the Venetians: The Date and the Debate" 2002
[13] 서적 As If God Existed: Religion and Liberty in the History of Italy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2
[14] 학위논문 Venice in the East Adriatic: Experiences and Experiments in Colonial Rule in Dalmatia and Istria (c. 1150–1358) Stanford University 2007
[15] 간행물 "I titoli dei Dogi de Venezia" https://archive.org/[...] 1903
[16] 웹사이트 Ducal https://books.google[...] 1797
[17] 웹사이트 Doge
[18] 웹사이트 Electing the Doge of Venice: Analysis of a 13th Century Protocol http://www.hpl.hp.co[...] 2007-07-12
[19] 서적 Venice: an historical sketch of the republic 1893
[20] 서적 Egyptian Mythology and Egyptian Christianity, with their modern influence on the opinions of modern Christendom J.R. Smith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